미디어·콘텐츠 강자 대한민국, 시험대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콘텐츠 강자 대한민국, 시험대에

소비자 편의주의·콘텐츠 소비 방식 혁신 필요
철저한 개인맞춤 서비스, 글로벌시장 안착 '변수'

[지데일리] 지난 1997년 DVD 대여 업체로 시작한 넷플릭스는 2007년 인터넷 스트리밍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하며 세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장악했다. 넷플릭스가 약진하면서 미국 최대의 비디오 대여점 ‘블록버스터’는 파산했고, 미국 최대의 케이블TV ‘컴캐스트’도 내리막에 접어들었다. 

 

제목 없음.jpg
ⓒ픽사베이

 

 

심지어 2017년 미국 내 넷플릭스 가입자 수가 케이블TV 가입자 수를 넘어섰다. 방송 지형을 바꾼 넷플릭스는 콘텐츠의 성지, 할리우드로 진격했다. <넷플릭스하다>는 넷플릭스의 8가지 혁신 비법과 한국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위한 제언을 담았다.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넷플릭스는 현존하는 미디어 플랫폼 중 가장 먼저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하며 20년 만에 세계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뒤흔드는 파괴적 혁신자가 됐다. 

 

넷플릭스는 론칭 초기부터 경쟁업체와 노선을 달리했다. 오프라인 서비스에 집중하는 시장의 분위기와 달리 인터넷을 활용하며 온라인 시장을 선점했다. '기술 위에 쌓아 올린 엔터테인먼트 회사'를 지향하는 넷플릭스는 당대 최신 기술을 적용해 혁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승승장구한 것처럼 보이는 넷플릭스에도 위기는 있었다. 넷플릭스의 장악력에 위협을 느낀 기존 콘텐츠 업체들의 견제에 사업이 위태롭기까지 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위기마저 반등의 기회로 삼았다. 빅데이터 분석, N스크린 전략, 자체 콘텐츠 제작 등 넷플릭스의 혁신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넷플릭스 혁신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경영'에 있다. 넷플릭스의 원칙은 간단하다. 무엇이 이용자에게 더 이로운가. 넷플릭스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스크린 수를 늘리는 이유는 이용자 편의에 있다. 철저히 이용자 입장에서 생각해 원하는 작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넷플릭스가 국내 서비스를 론칭한 것은 2016년 1월이었다. 당시 넷플릭스의 국내 진출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하던 국내 미디어 사업자들은 넷플릭스의 저조한 실적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하지만 실제로 넷플릭스가 신규 시장에 진출해 효과를 거두는 데 평균 3년 정도가 걸렸다. 2011년 브라질 진출 초기, 넷플릭스는 콘텐츠 부족과 취약한 인터넷 인프라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3년이 지난 시점부터 가파르게 성장했다.


국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변화의 물결은 진행 중이다. 넷플릭스만이 문제가 아니다. 아마존 구글뿐 아니라 알리바바, 텐센트로 대표되는 중국 세력도 기회를 엿보고 있다. 여전히 국내 미디어 사업자들은 정부의 규제에 기대 밀려오는 혁신의 물결을 막아서는 데 급급하다. 

 

국내 사업자도 시장의 파괴자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도자들의 혁신 방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 국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넷플릭스의 혁신 비법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세계 미디어·콘텐츠 시장의 트렌드를 읽고, 나아가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함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