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은 보기 드문 '숲세권'이랍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마을은 보기 드문 '숲세권'이랍니다

[도시재생 스케일업]
지역 곳곳 도시숲, 어린이·시민 위한 자연친화공간 변신
지속적인 환경정비로 마을공동체 녹색 치유공간 탈바꿈

  • 정용진 press9437@gmail.com
  • 등록 2021.11.06
  • 댓글 0

[지데일리] 지역 곳곳에 조성된 도시숲이 아이들과 시민들을 위한 자연 친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며 전국적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주는 동시에 늦은 가을 단풍의 절정과 숲 기운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숲 프로그램 사업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는 것이다. 

 

g.jpg
가좌4동 가재울마을은 주변이 숲으로 둘러싸인 서구에서 보기 드문 '숲세권' 마을로 불린다. 그 가운데서도 가좌이음숲은 가재울마을 도시재생 주민 설문조사 결과 마을 주민들이 가장 아끼는 곳으로 뽑힐 정도로 주민들의 애정이 담긴 곳이자 발걸음이 이어지는 곳이다.

 


특히 학교숲 조성사업을 통해 학교 환경개선과 녹지량을 확충함으로서 아이들에게 친자연적인 학습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시민에게 쾌적한 여가 활용 공간과 쉼터를 제공하고 있다.

 

먼저 인천에서는 서구 가재울마을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됐던 숲 프로그램을 재개한다.

 

가좌4동 가재울마을은 주변이 숲으로 둘러싸인 서구에서 보기 드문 '숲세권' 마을로 불린다. 그 가운데서도 가좌이음숲은 가재울마을 도시재생 주민 설문조사 결과 마을 주민들이 가장 아끼는 곳으로 뽑힐 정도로 주민들의 애정이 담긴 곳이자 발걸음이 이어지는 곳이다.


가재울마을은 지난 3월 더불어마을 희망지 사업에 선정돼 마을 특색이 담긴 '가좌이음숲 알차게 즐기기'를 펼치고 있다.

 

도심 숲으로서 있는 그대로를 즐길 목적으로 운영한 5개의 연령대별 프로그램은 마을 사람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달부터는 모든 프로그램이 다시 운영된다.


숲 생태체험은 미취학 어린이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가재울마을 생태안내 전문인력 양성과정인 '엄마는 생태선생님'을 수료한 생태안내자들이 직접 진행하는 방식으로 마을 내 어린이집 6곳이 단체 신청을 하는 등 각광을 받고 있다.


숲속 전래놀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숲의 지형지물을 활용한 전래놀이를 체험하는 방식인데 동행한 부모님들까지 즐거운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숲의 향을 마시며 오후의 쉼을 만끽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숲 산책모임이 눈길을 끄는데, 전문가의 숲 해설을 들으며 산책하고 소품 만들기를 함께 하면 지친 심신을 잠시나마 회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바르게 걷기와 단전부터 끌어올리는 힘찬 웃음 운동으로 하루를 활기차게 시작할 수 있는 '숲속 걷기와 웃음건강운동'은 어르신들에게 호응이 매우 높은 편이다.

 

1.jpg
익산 왕궁초등학교는 지속적으로 학교 숲을 활용한 자연학습과 학교생태지도 만들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아이들과 교직원들에게 다양한 자연학습 체험을 선보였다. 아울러 학교 자체적으로 다양한 꽃 식재와 제초작업 등 적극적인 주변 환경 정비를 펼쳐 학교 숲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녹색 공간으로 관리해 마을주민의 녹색 치유공간으로 자리잡았다.

 


앞서 전북 익산시에서는 지난 2018년 조성한 왕궁초등학교 학교숲이 산림청이 주관한 '학교숲 활용 및 사후관리 분야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우수사례에 선정됐다.

 

시는 이번 우수사례 선정으로 익산시의 숲 조성 사업이 국내 상위 수준임을 인정받음에 따라 향후에도 다양한 경관조성 사업을 펼침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힘쓴다는 구상이다.


왕궁초 학교숲은 아이들에게 자연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녹색공간이 부족한 지역 주민들에게 치유공간을 제공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왕궁초 학교 숲에 약용수, 유실수, 수생식물, 편백·느티나무 등 23종 800여주를 심어 아이들의 정서함양과 환경친화적인 태도 육성을 돕는 동시에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었다.


이후 왕궁초는 지속적으로 학교 숲을 활용한 자연학습과 학교생태지도 만들기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아이들과 교직원들에게 다양한 자연학습 체험을 선보였다.


아울러 학교 자체적으로 다양한 꽃 식재와 제초작업 등 적극적인 주변 환경 정비를 펼쳐 학교 숲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녹색 공간으로 관리해 마을주민의 녹색 치유공간으로 자리잡았다.


시는 향후에도 지역 곳곳에 시민들이 치유할 수 있는 녹색 공간을 확대해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지역사회 만들기에 앞장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