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괴롭히는 갯끈풀 제거 '총력'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갯벌 괴롭히는 갯끈풀 제거 '총력'

갯벌 육지화로 염생식물·저서생물 파괴.. 해양생태계 교란
지역 어촌계, 수산업 피해 최소화 '갯끈풀 수매사업' 시동

  • 정용진 press9437@gmail.com
  • 등록 2022.06.16
  • 댓글 0

[지데일리] 강한 생명력과 빠른 번식력을 가진 갯끈풀. 이런 탓에 뿌리까지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확산 위험이 큰 생태교란생물로,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하는 방향으로 방역이 진행되고 있다.

 

갯끈풀은 갯벌을 육지화함으로써 토종 염생식물과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는 등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악성 유해종으로 꼽힌다.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과 호주, 중국 등 국제적으로도 외래·침입종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다.

 

1.jpg
여러 개로 보이는 풀들이 한 뿌리에서 나온 형태를 지닌 갯끈풀은 뛰어난 생명력과 번식력을 통해 개체 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 2013년부터 위해 우려종으로 지정했으며, 이후 2016년엔 생태계 교란 생물종으로 변경했다.

 

 

갯끈풀은 군락 내 퇴적물을 가둬 갯벌을 굳게 만드는데, 이는 해양생물과 자생식물이 자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일명 '갯벌파괴자'로도 불리고 있다. 통상적으로 가을인 9월 꽃을 피우면 씨앗을 통해 번식해 그 확산 속도가 빠르고 뿌리로도 번식하는 습성이 있다.


여러 개로 보이는 풀들이 한 뿌리에서 나온 형태를 지닌 갯끈풀은 뛰어난 생명력과 번식력을 통해 개체 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 2013년부터 위해 우려종으로 지정했으며, 이후 2016년엔 생태계 교란 생물종으로 변경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갯끈풀은 중국으로부터 해류를 따라 국내로 자연 유입된 것으로 보인는데, 지난 2012년 인천시 강화도에서 최로로 확인돼 작년 말 기준으로 이 지역에서만 2만2000㎡까지 늘어났다.


이는 국내 갯벌에 뿌리내린 갯끈풀의 95% 넘는 규모로 관련 기관이 제거를 위해 수 년째 노력하고 있으나 확산을 막는 것조차 힘겨운 상황이다. 갯끈풀은 이후 2015년 전남 진도 갯벌, 2016년 경기도 안산 대부도 갯벌, 2017년 충남 서천 장항읍 송림리 갯벌 등에서 추가로 확인됐다.


현재는 인천 강화도는 물론 영종도, 신도, 장봉도, 경기 대부도, 충남 서천, 전남 진도 등 7개 지역에 서식 중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강화도에만 99%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 현재도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각 부처와 지역이 지역주민과 함께 서식지 저감을 위해 사활을 걸도 있는 상황이다. 


2.jpg
갯끈풀 서식지. 해양환경공단 제공

 

특히 최근 강화군에서는 갯끈풀 제거를 위해 해양수산부, 인천시, 해양환경공단과 공조체계를 구축, 갯끈풀의 침입 초기 단계부터 지상부 줄기와 지하부 뿌리를 제거하고 갯벌을 뒤집는 방법으로 갯끈풀을 퇴치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갯끈풀 수매사업을 포함해 갯끈풀 식별과 신고 방법 등을 설명해 주민의 사업 참여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 수매사업은 갯끈풀 제거작업에 지역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사업으로 뿌리뽑기 방식을 통해 갯끈풀 제거 효과를 높이고 새로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 해양환경공단도 강화군과 지역어촌계과 함께 해양생태계 교란과 수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갯끈풀 제거 사업에 동참하고 나섰다. 

 

공단은 지난 2017년부터 해양수산부·인천시·강화군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갯끈풀 서식지 저감에 힘쓰고 있는데, 최근 사업 설명회를 통해 지난해 갯끈풀 제거와 관리사업 추진현황, 갯끈풀 식별·신고와 참여방법 등 구체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기존 갯끈풀 제거작업에 참여하지 못한 지역 주민을 상대로 갯벌 초입부 내 생장군락에 대한 뿌리뽑기 방식을 통해 연중 제거효과를 높이는 갯끈풀 시범 수매 사업을 본격화하게 된다.


올해 공단은 갯끈풀 제거사업 추진을 위해 지반 특성별로 중장비를 투입해 갯벌 뒤집기를 진행함으로써 작업 면적과 제거효과를 높이고 갯끈풀 제거작업 잔여물 확산 방지를 위해 외곽부에 방지막을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갯끈풀 확산 우려 지역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이 외 지역은 반기별 모니터링과 긴급대응을 통해 관리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