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BOOK돋움] 글쓰기 하나로 뭉친 일곱 할머니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날마다 BOOK돋움] 글쓰기 하나로 뭉친 일곱 할머니

  • 이은진 press9437@gmail.com
  • 등록 2023.03.05
  • 댓글 0

[크기변환]지데일리.jpg

 

시드니 할매's 데카메론 - 일곱 할머니의 우아하고 유머러스한 에세이 

김수영·김정인·박조향·배명희·심무경·양혜자·이마리 지음, 푸른길 펴냄

 

낯선 타국 시드니에서 글쓰기 하나로 뭉친 일곱 할머니의 유머러스한 에세이집이다. 한국을 떠나 시드니에 정착한 지 어느덧 반세기가 돼 간다. 한국어보다는 영어를, 밥과 김치보다는 빵과 치즈에 익숙해져야만 했던 시간을 지나, 내 나라 내 언어를 찾아 글쓰기 방 앞에 선 할머니들을 만날 수 있다.


동화작가 이마리를 필두로 꾸려진 ‘할머니 독서 모임’은 코로나 봉쇄령으로 외출이 어려웠을 당시 글쓰기 모임 ‘팔색조’로 변모한다. 

 

어른이 된 자녀들이 훌쩍 떠난 집을 돌보던 어느 날, 저자들은 문득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나를, 내 것을 사랑할 시간”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누군가의 엄마,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할머니로 지내느라 들여다볼 겨를이 없었던 ‘나’의 순간을 온전히 만나고 싶었다.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일곱 할머니가 각자의 개성과 감각으로 그려 낸 일상의 풍경을 담고 있다. 난생처음 눈에 담은 호주의 정경부터 서툰 언어로 친구를 사귀었던 날, 이웃집에 초대받았던 일, 소중한 사람과의 이별을 준비했던 기억, 가족과 슬픔을 나누고 보듬었던 순간을 다정하고 섬세한 문장으로 풀어낸다.

 

[크기변환]지데일리.jpg

 

숲으로 간 여성들 - 그들이 써 내려간 세계 환경운동의 역사 

오애리·구정은 지음, 들녘 펴냄

 

여성은 지구 곳곳에서 자연 보호와 환경운동에 힘써왔다. 혹자는 여성이 과거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에 따라 자연에서 먹을 것을 구하며 자녀를 양육하고 삶을 영위해나갔기에 자연 파괴의 위험성을 가장 먼저 포착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비교적 최근의 논의인 에코페미니즘은 자연에 대한 착취가 여성과 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를 억압하는 방식과 궤를 같이함을 지적한다. 여성이 환경운동의 시초부터 그 중심에 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오늘날까지도 여성은 환경운동의 주축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으로 전 세계를 강타했고, 청소년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기후 위기의 낭떠러지에 서 있는 우리에게 그 어느 때보다 강렬한 메시지를 전한다. 유엔여성기구(UN Women)는 “여성은 새로운 농업 기술을 도입하고 위기에 가장 먼저 대응하는 사람들이며, 기후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귀중한 통찰력과 해결책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역설했다.

 

이 책은 세계 곳곳에서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힘써온 여성 환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간과 자연이 관계 맺는 방법을 고민하고 자연으로 향하는 문을 연 최초의 여성 생태과학자들부터, 그 후로 벌어진 착취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환경운동에 뛰어든 여성 사회운동가들을 포함한다. 지구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삶의 방식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될 수 있겠다.

 

[크기변환]지데일리.jpg

 

건축, 300년 - 영감은 어디서 싹트고 도시에 어떻게 스며들었나 

이상현 지음, 효형출판 펴냄

 

날카롭게 깎인 직육면체와 구름을 닮은 곡면… 불과 십수 년 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낯선 형태들을 도시 곳곳에서 마주한다. 

 

‘IFC 서울’, ‘DDP’, ‘부산 영화의 전당’ 등, 형태에 대한 설명조차 힘든 건축물들이 어느새 우리 곁의 친숙한 풍경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어떻게 일상 공간으로 스며들었을까. 설계자 자하 하디드와 쿱 힘멜블라우는 어디서 영감을 얻은 걸까. 우리는 왜 이런 건축물에서 낯섦과 유희를 동시에 느끼는 걸까.


저자는 그 답을 찾아 3세기에 걸친 동서고금을 넘나든다. 건축물을 중심으로 현대 건축의 과거를 추적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빈의 맨홀’이라 평가받았지만 모더니즘 건축의 시초가 된 로스 하우스, 흡사 기계와 같은 외관을 지닌 퐁피두 센터까지 건축가들이 왜 그런 건축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당대 사회적 맥락과 연결해 설명한다.


거기에 지금까지 그다지 관심 있게 다뤄지지 않았던 한국의 건축물, 대표적으로 파주의 탄탄스토리하우스, 전주시청사, 국립민속박물관, 종로 주얼리 비즈니스 센터, 청담동의 카페들 등이 세계 건축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조명된다.



당신이 관심 가질 만한 이야기

G-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