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여기가 내 방이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엄마, 여기가 내 방이야"

[마음이 있는 책] 마음 곁에 두는 마음
박성우 지음, 미디어창비 펴냄

'생각하면, 아프다. 어머니는 막둥이인 내가 봉제 공장에 다니며 야간대학에 다닐 적에도, 대학원에 다니며 조교 일을 할 적에도 나와 같은 학교로 출근하는 청소 노동자였다. … 청소를 하다 말고 계단 밑 작은 공간에 쪼그려 앉아 밥을 먹었을 내 어머니, 더러는 변기에 앉아 쉬기도 했을 내 어머니. 엄마, 여기가 내 방이야. 연구실 문을 열고 들어간 나는, 내가 쓰는 의자에 어머니를 앉게 했다. 방이 널찍하니 좋구나, 회전의자에 등을 기대고 앉아 몸을 흔들어보던 어머니는 한참이나 흡족한 표정으로 창밖을 내다봤다. 그때 나는 왜 그리도 눈물이 나던지, 아무렇지 않게 뒤돌아선 나는 연신 눈가를 훔쳤다.'

 

일상의 작은 에피소드들 속에서 어느 순간 탁 하고 마음에 맺히는 생각을 시로 쓴다는 박성우 시인. 그는 곁에 있는 이들의 고유한 마음들을 찾아내 기억하고 다시 불러내는 일을 부지런히 반복한다. 

 

[크기변환]g.jpg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자신을 위해서도 ‘마음 곁에 두는 마음’을 스스럼없이 보여주는 것만큼 마땅한 위로는 없다는 듯이. 마음을 이정표 삼아온 시인의 이야기는 지친 마음을 포근하게 어루만진다. 

 

<마음 곁에 두는 마음>은 바쁜 일상에 찌들어 서로의 ‘마음’을 챙길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어른’들을 위해 시인의 마음 깊이 간직한 이야기를 따뜻하게 풀어낸다. 시인의 감성으로 곱게 써내려간 어른을 위한 ‘마음 사전’ ‘마음 처방전’이다.

 

시를 쓰고 싶어 운동장에 누워 깜깜한 밤하늘을 하염없이 바라보던 어린 시절부터 지금 여기 나를 단단하게 붙들어주는 사람들과의 추억까지, 일상의 소소한 풍경일지라도 허투루 흘려보내지 않는 시인이 그간 기대왔던 ‘선한 마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그가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우리 곁의 소중한 마음들이 따듯한 손길이 되고 힘찬 걸음이 돼 오늘날의 나를 만들어왔다는 사실. 그렇기에 “부디 그대들도 마음 곁에 마음을 두는 일로 조금은 더 반짝이는 하루하루를 열어가”라는 것이다. 


“요즘 같은 세상에 이렇게 착해빠진 시인이 있다는 게 그저 고마울 따름”이라는 안도현 시인의 말처럼, 박성우의 산문집에서는 사람과 삶, 자연을 따듯하게 보듬어 안으려는 시인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시인의 집을 찾아오는 정겨운 이웃들은 물론이고 박새와 고양이에게까지 다정한 눈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책에는 시인의 마음 속 빈틈을 채워준 ‘고마움’이 가득하다. 첫 보이스카우트 캠프 날 집 안 살림을 다 안고 나타난 어머니들 덕에 뜨끈한 밥으로 배를 채우고, 청소 노동자였던 어머니의 사랑을 받고 자라 마침내 대학교수가 된 아들이 자신의 교수실 의자에 어머니를 앉혀본 순간을 읽다 보면 우리도 언젠가 마주했던 손길들의 온도를 가만히 떠올려보게 된다.

 

마음 한 편에 오래 두고 싶은 장면들도 스친다. 오후 세 시를 전후해 찾아오는 고양이에게 ‘오후 세 시의 고양이’라 부르며 자연스레 비린 것을 사 들고 집으로 돌아올 만큼 친하게 지내다 너무 가까워져 생기는 어려움과 불편함을 토로하고, 외할머니와 함께 자란 딸아이와 모처럼 나선 소풍을 행복하게 즐기며 이 좋은 걸 왜 진작 하지 못했을까 후회도 하며 작은 기쁨들을 오롯이 누리는 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온화한 자연 안에서 시인이 찾은 ‘쉼’도 보인다. 시인이 보름달과 초승달을 보며 쓴 ‘이 밤에 유일한 저 탈출구’라는 시를 읽다 보면 머릿속을 가득 채웠던 걱정에서 한 발짝 거리를 두게 된다. 늦여름 새벽, 청보랏빛 도라지꽃을 보며 ‘영원한 사랑’이라는 도라지꽃의 꽃말을 떠올리는 시인의 모습이 자연의 정취를 고스란히 전하기도 한다.

 

[크기변환]g.jpg

 

단단한 오늘을 만든 ‘슬픔’의 기록도 담겼다. 새벽에 트럭을 몰고 두부 장사를 했던 일을 떠올리며 스스로가 대견했던 지난날을 추억하기도 하고, 눈이 많이 오던 날 아버지를 돕겠다는 어린 마음에 운수회사에 다니던 아버지를 찾아갔지만, 아버지의 단호한 만류로 돌아서 왔던 일 등 눈물겨웠지만 따스함이 함께했던 그 시절에 뒤늦은 안부를 전한다. 

 

또 오랜 시간 백석을 짝사랑해온 안도현 시인에게서 애정하는 것에 온 마음을 다하는 자세를 배우기도 하고, 삼십여 년의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격의 없이 대해주는 정양 시인으로부터 든든한 버팀목 같은 우정을 느끼기도 한다.

 

시인의 산문집은 시인의 시를 닮았다. 내가 아닌 다른 존재로부터 귀한 깨달음을 얻으며 삶을 같이 나누고 살아가는 모습이 시인의 글마다 투명하게 비친다. 만나온 이들의 표정을 가볍게 보내지 않고 하나하나 마음에 새기는 시인의 세심한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행복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시인만의 것이 아닌, 우리가 잊고 있었던 삶의 진실임을 가슴 깊이 느끼게 된다.


시인은 무심한 표정으로 살아가는 어른들에게 소중한 날들의 마음을 잊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는 말한다. 마음은 어둑어둑 위태로운 곳에 두지 않고 높고 환한 곳에 두는 것. 닫힌 쪽에 두지 않고 밝고 넓게 열린 쪽에 두는 것. 조금은 더 따뜻하고 조금은 더 아늑하고 조금은 더 아름다운 쪽에 두는 것. 두루미가 일순간 강물 위에 그려놓고 가는 둥근 물결처럼 멀리 번져나가게 하는 것. 그리하여 마음은 동그라미 동그라미 더 큰 동그라미를 그리며 번져나가다가 기어이 그대와 나를 일렁이게 하는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