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예술산업의 힘, 6조4210억 매출...3년전 대비 19.5%↑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산업의 힘, 6조4210억 매출...3년전 대비 19.5%↑

대중문화예술 노동환경 담은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 발표
공정 계약 위한 제도적 보완·상대적 약자에 대한 대책 마련 필요

[지데일리] 문화예술산업 분야에서 상대적 약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보완 대책 수립과 공정한 계약문화 확산 등 건강하고 투명한 산업구조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목 없음.jpg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국내 대중문화예술산업 관련 사업체의 실태와 종사자의 활동 현황, 노동 환경 등을 조사한 ‘2019년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2018년 기준, 격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규모는 6조 4,210억 원(대중문화예술기획업, 대중문화예술제작업)으로 2016년 5조 3691억원 대비 19.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산업 규모의 성장세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업체의 증가, 16개 상장기획사의 매출 증가 외에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신진기획사의 약진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매출액 중 해외 매출도 ,742억 원을 기록하며 2016년 5175억 원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의 인기와 방탄소년단 등 케이팝(K-Pop) 아이돌 그룹의 성공적 해외 활동 및 글로벌 팬덤 형성이 매출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대중문화예술기획업체에 소속된 대중문화예술인은 총 9141명으로 2016년 8059명 대비 1082명(13.4%) 증가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가수(보컬, 댄스 등) 4003명(43.8%), 연기자 3422명(37.4%), 모델 693명(7.6%), 코미디언 188명(2.1%), 기타(성우, 크리에이터 등) 835명(9.1%)으로 나타났다. 

 

연습생은 319개(14.7%) 업체에 총 1671명으로 2016년 1440명 대비 231명(1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가수 지망생이 204명(72.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준계약서 사용 지속 증가, 공정 계약 인식 확산 기대

 

소속 대중문화예술인과 표준전속계약서를 사용하는 업체는 94.9%로 2016년 84% 대비 1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태프의 서면계약률도 2016년 66.5%에서 ’18년 73.6%로 상승하여 표준계약서 보급과 서면계약 인식이 업계에 정착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중문화예술인의 월평균 개인소득(대중문화예술활동 및 기타 소득 합산)은 180만2000원으로 2016년 183만2000원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중문화예술활동 분야만의 소득은 128만2000원으로 2016년 114만9000원 대비 13만원 가량 증가했다.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태프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239.6만원으로 2016년 215만5000원 대비 24만1000원 상승했다.


콘진원 김영준 원장은 “대중문화예술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공정한 산업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요청이 계속되어 왔고 그에 대한 개선 노력이 표준계약서 사용 증가 등 긍정적인 성과로 연결되고 있으나 아동·청소년, 연습생 등 상대적 약자에 대한 권리 보호, 불공정 계약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당신이 관심 가질 만한 이야기

G-BOOK